2025년 루마니아 디지털 헬스 산업
페이지 정보
본문
- 국별 주요산업
- 루마니아
- 부쿠레슈티무역관 정보영
- 2025-08-04
- 출처 : KOTRA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수요 증가… 건강·웰빙 코칭 및 원격의료 주목
기관 간 데이터베이스의 상호 운용성 부족, 낮은 1인당 의료 지출, 느린 디지털 전환 속도 등 구조적 제약 존재
병원 간·내부 간 데이터 호환성 문제 보완하고, 합리적인 비용 구조 및 구독형 서비스 등 전략 고려 필요
루마니아 의료 시스템은 현재 노후화된 인프라, 낮은 보건 예산, 공공 부문 주도 등 여러 구조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루마니아의 보건 지출은 GDP의 5.8%에 불과해 독일(13%) 등 주요 EU 국가 대비 현저히 낮은 수준이며, 1인당 의료비 역시 EU 최하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이 같은 예산 제약은 의료 인력 부족과 서비스 품질 저하로 이어지고 있으며, 지역 간 의료 접근성 격차도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루마니아 정부는 디지털 헬스 기술을 통한 보건 시스템의 현대화를 적극 추진 중이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원격 진료, 의료정보 시스템 통합, 데이터 기반 건강관리 전략이 국가 차원의 정책 어젠다로 부상했으며, EU 회복·복원력 기금을 포함한 자금 지원을 바탕으로 전자 처방 시스템, 환자 기록 통합, 디지털 인프라 개선 등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루마니아는 IT 인프라와 개발 인력 측면에서 경쟁력 있는 기반을 갖추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헬스테크 스타트업 생태계도 활발하게 성장 중이다. 정부 주도의 구조 개혁, EU 자금과의 연계, 민간 혁신 주체의 참여가 결합하면서 디지털 헬스 산업은 루마니아 의료 시스템 전환의 핵심 축으로 부상하고 있다.
산업특성
루마니아 정부는 국가 디지털 헬스 전략(National Digital Health Strategy)과 국가 회복 및 복원 계획(NRRP)을 중심으로 의료 시스템의 현대화와 디지털 전환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국가 디지털 헬스 전략은 2024년부터 2030년까지를 목표로, 의료 정보의 디지털화 및 시스템 간 상호운용성 강화를 핵심 방향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NRRP에서는 총 4억4200만 유로를 디지털 헬스 인프라 개발에 투입하고 있다. 이를 통해 루마니아 정부는 2만5000개 이상의 의료기관을 연결하고, 전자처방 시스템 구축, 환자 기록 통합, 원격의료 체계 확장 등 주요 프로젝트를 단계적으로 추진 중이다.
이러한 물리적 인프라 개선과 함께, 루마니아는 의료 인력의 디지털 역량 강화도 지원하고 있다. EU 집행위원회의 기술지원수단(Technical Support Instrument, TSI)을 통해 루마니아는 보건 종사자의 디지털 건강 문해력(Digital Health Literacy)* 향상을 위한 교육·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 주: 디지털 건강 문해력이란 환자와 의료 종사자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건강 정보를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디지털 헬스 시스템의 효과적 정착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로 평가된다.
루마니아 정부는 WHO(세계보건기구)와도 협력해, 2022년부터 다년간 의료 디지털 혁신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전자건강(e-Health), 원격의료 시스템 구축, 보건 재정 및 인력 관리 체계 고도화 등을 지원 목표로 하고 있으며, EU NRRP와 연계돼 정책 일관성과 실행력을 확보하고 있다.
한편, 루마니아의 헬스테크 산업은 공공 재원을 기반으로 한 민간 참여형 생태계에서도 활발하게 성장 중이다. 특히 EIT Health는 EU 집행위원회 산하 유럽혁신기술연구소(EIT)가 운영하는 공공-민간 협력형 헬스케어 혁신 플랫폼으로, 루마니아 스타트업들이 기술, 멘토링, 투자 연계 등 다양한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EIT Health가 루마니아에 도입된 이후, 현지 생태계는 빠르게 성장했으며, 2023년에는 루마니아가 EIT 기준 ‘레벨 3 (Experimenter)’ 혁신 허브로 공식 평가됐다. 또한 EIT Health의 HeadStart 프로그램을 통해 다수의 초기 단계 스타트업들이 시장 진입 및 글로벌 사업화 기반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이러한 정책 기반과 더불어, 현지 창업 생태계 내 실질적 지원 프로그램들도 루마니아 디지털 헬스 산업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Hubvantage는 루마니아 의료 분야에 특화된 스타트업 액셀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수요 평가(Needs Assessment), 일대일 멘토링, 병원과의 네트워킹 이벤트 등을 통해 창업자의 의료 현장 연계 역량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해당 프로그램은 2022년 시범 운영을 시작으로 매년 운영되고 있으며, 총 15개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9개월간 온오프라인을 병행하는 하이브리드 형식으로 진행된다.
또한, Hackathon4Health는 루마니아 최대 규모의 헬스케어 해커톤으로, Johnson & Johnson Romania가 주관하고 있다. 본 행사는 의료 현장의 시급한 문제를 디지털 솔루션으로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창의적 아이디어의 사업화 가능성을 실험하는 장으로 기능하고 있다. 우수 참가팀에는 1만 달러 규모의 프리시드 자금과 6개월간의 전문가 멘토링이 제공되며, 헬스케어 분야 창업 초기 진입 장벽을 낮추는 데 실질적인 이바지를 하고 있다.
이처럼 루마니아는 정부 주도의 전략적 정책 추진과 EU 공공 재원의 활용, 그리고 민간 중심의 실행력 있는 현장 프로그램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생태계를 통해, 디지털 헬스 산업 전반의 구조적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주요 기업 현황
<디지털 피트니스와 웰빙 분야>
기업명
Nutritio
설립 연도
2016
솔루션
AI 기반 자동화를 통해 식단 작성과 환자 관리를 돕는, 영양 전문가 중심의 헬스케어 플랫폼
웹사이트
위치
Splaiul Unirii 165 Timpuri Noi Square, Building 2, Floor 1 030133, Bucharest
기업명
DAHNA (CARDIOSCIENCE SRL)
설립 연도
2018
솔루션
심혈관 위험도에 따라 맞춤형 식단과 건강 보상을 제공하는 의사 개발 심장 건강 관리 앱
웹사이트
위치
Str. Hatman Arbore no. 15-19, 2nd floor, apartment 209, sector 1 Bucharest
기업명
Neveli
설립 연도
2024
솔루션
AI와 바이오 기술로 유전·환경·생활 데이터를 통합해 맞춤형 케어를 제공하는, 선제적 건강관리 플랫폼
웹사이트
위치
Level 1, Gate Avenue - South Zone, DIFC Dubai, United Arab Emirates
[자료: RomanianStartups.com, 각 기업 공식 홈페이지]
<디지털 치료&케어>
기업명
Acertivo (ACERTIVO MINDWARE SRL)
설립 연도
2020
솔루션
직장 내 감정 회복력과 스트레스 대응력을 키울 수 있도록, 맞춤형 감정 기술 트랙을 제공하는 기업용 정신건강 플랫폼
웹사이트
위치
Lunca Bradului 1, bld. H1, entr. 4, floor 2, ap. 71, district 3, Bucuresti
기업명
Calmly (EPIC TURTLE CORP SRL)
설립 연도
2022
솔루션
편안한 분위기의 치료사와 첫1회 무료상담을 통해, 심리상담을 쉽게 시작할 수 있게 돕는매칭 플랫폼
웹사이트
위치
Str. Muresului 54 Ap. M6 Cod 400598, Cluj-Napoca
[자료: RomanianStartups.com, 각 기업 공식 홈페이지]
<원격 의료>
기업명
Telios Care
설립 연도
2017
솔루션
앱과 전화로 전문의 상담과 맞춤형 건강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환자용 원격의료 서비스
웹사이트
위치
Str. Henri Barbusse, Nr. 44-46 Clădirea A, 400616.
기업명
DEA Medicine (SC SILOSI Medical Tech SRL)
설립 연도
2020
솔루션
병원을 원격진료와 실시간 연결이 가능한 가상병원으로 전환시켜 환자 접근성과 치료 효율을 혁신하는 올인원 의료 Saas 플랫폼
웹사이트
위치
Str. Eroilor 95 Cod 200339, Loc. Craiova
[자료: RomanianStartups.com, 각 기업 공식 홈페이지]
산업 현황
루마니아의 디지털 헬스 시장은 최근 몇 년간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2025년 시장 규모는 약 6억3044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2029년까지 연평균 8.33%의 성장률(CAGR)을 기록해 약 8억6832만 달러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루마니아 디지털 헬스 시장은 크게 디지털 피트니스 및 웰빙, 디지털 치료 및 케어, 원격의료 세 가지 부문으로 구성돼 있다. 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는 ‘디지털 피트니스 및 웰빙 부문으로, 2025년 기준 매출은 약 3억3231만 달러로 예상되며, 이는 전체 시장의 약 52%를 차지하는 규모다.
<루마니아 디지털 헬스 시장 규모 및 전망>
(단위: US$ 백만)[자료: Statista, 부쿠레슈티 무역관 편집]
<디지털 헬스 시장 부문별 사용자당 수익 및 전망>
(단위: US$)
세부 분야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디지털 피트니스&웰빙
45.59
44.17
43.33
42.52
42.11
42.32
42.89
43.53
44.21
디지털 치료&케어
70.36
64.87
67.3
72.77
78.61
83.96
88.55
91.73
93.93
원격의료
46.76
54.63
63.82
69.87
74.52
77.52
78.81
79.57
79.93
[자료: Statista, KOTRA 부쿠레슈티 무역관 편집]
① 디지털 피트니스와 웰빙 시장
디지털 피트니스 및 웰빙 부문은 사용자 수와 매출 모두에서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는 분야다. 세부 시장 중 사용자 수가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2029년까지 약 1128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하위 시장 중 피트니스 트래커와 건강 및 웰빙 코칭은 함께 성장하고는 있으나, 특히 건강 및 웰빙 코칭 부문의 성장률이 두드러진다. 다만, 사용자 수 대비 평균 사용자당 수익(ARPU)은 다소 낮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어, 경쟁 심화 속에서 수익성을 높이기 위한 프리미엄 서비스 확대 전략이 요구된다.
② 디지털 치료 및 케어 시장
루마니아 디지털 치료 & 케어 시장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며, 2029년에는 약 4억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 구조를 살펴보면, 바이오센서 부문은 정체 상태에 머물렀지만 디지털 케어 관리 부문은 사용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디지털 케어 관리 사용자는 2017년 194만 명에서 2029년에는 약 524만 명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흐름을 감안할 때, 디지털 치료 및 케어 시장의 핵심 성장 동력은 디지털 케어 관리 서비스와 플랫폼 개발에 있으며, 향후 해당 분야는 의료 서비스 디지털화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이 시장은 높은 사용자당 평균 수익(ARPU)을 기반으로 전체 디지털 헬스 산업 중 수익성이 가장 뛰어난 부문이다.
③ 원격 의료 시장
원격의료 시장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급격히 증가한 사용자 수를 기록한 뒤, 이후 완만한 성장세를 보인다. COVID-19 팬데믹의 영향으로 2020년과 2021년 동안 원격 진료 사용자가 급증한 것으로 분석되며, 2023년 이후 성장 속도가 둔화하면서 시장의 포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전체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서비스 차별화 및 수익 모델의 다양화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사용자당 평균 매출(ARPU)은 2021년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2029년에는 79.93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출입동향
루마니아의 ICT 서비스 부문은 지속적으로 수출 증가세를 보인다. 루마니아의 ICT 서비스 총수출액은 2022년 약 98억8100만 달러에서 2024년 111억 달러로 증가하며 11.3%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주요 수출 대상국은 독일, 미국, 영국, 네덜란드, 프랑스 등이며, 대한민국은 28위에 해당한다.
<루마니아 ICT 서비스 10대 수출 대상국>
(단위: US$ 백만)
순위
Partner Economy
2022
2023
2024
23/24 증감률
전 세계
9,881
11,052
11,005
-0.43
EU 회원국
5,230
6,107
6,044
-1.03
1
독일
1,922
2,284
2,446
7.09
2
미국
1,820
1,830
1,937
5.85
3
영국
1,213
1,287
1,290
0.23
4
네덜란드
642
738
783
6.10
5
프랑스
571
748
655
-12.43
6
스위스
391
540
547
1.30
7
아일랜드
465
495
431
-12.93
8
이탈리아
254
297
251
-15.49
9
룩셈부르크
186
229
250
9.17
10
벨기에
194
235
226
-3.83
28
대한민국
24
19
27
42.11
* 주: 소프트웨어 및 디지털 헬스 분야는 별도 통계 확인이 어려워, ICT(정보∙통신∙컴퓨터) 서비스 전체 수출입 통계로 갈음해 제시
[자료: WTO]
루마니아의 2024년 ICT 서비스 총수입액은 약 43억31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4% 감소했다. 수입액 규모는 수출액의 약 절반에 못 미치며, 루마니아의 ICT 산업이 순 수출 구조가 뚜렷한 분야임을 보여준다. 숙련된 전문 인력, IT 인프라, EU 단일 시장 내 유통 용이성, 그리고 비교적 낮은 인건비 등은 루마니아 ICT 산업의 주요 경쟁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주요 수입국으로는 독일, 아일랜드, 네덜란드, 영국, 프랑스 등이 있으며, 대한민국은 34위에 해당한다.
<루마니아 ICT 서비스 10대 수입 대상국>
(단위: US$ 백만, %)순위
Partner Economy
2022
2023
2024
23/24 증감률
전 세계
3,755
4,439
4,331
-2.4
EU회원국
2,846
3,228
3,392
5.1
1
독일
512
615
561
-8.8
2
아일랜드
609
604
498
-17.5
3
네덜란드
214
304
346
13.8
4
영국
236
336
293
-12.8
5
프랑스
253
256
277
8.2
6
오스트리아
193
214
245
14.5
7
몰타
165
185
244
31.9
8
미국
236
270
211
-21.9
9
벨기에
118
135
168
24.4
10
룩셈부르크
118
118
147
24.6
34
대한민국
2
10
5
-50.0
[자료: WTO]
한편, 대한국 수출입동향을 더 자세히 살펴보면, 2024년 루마니아의 대한국 ICT 서비스 수출액은 전년 대비 42% 증가했다. 반면, 같은 해 루마니아의 대한국 ICT 서비스 수입액은 전년 대비 50% 감소하며 큰 폭의 반등을 나타냈다. 루마니아가 대한국 ICT 서비스 교역에서 순수출국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루마니아 ICT서비스 對한국 수출 · 수입액>
(단위: US$ 백만, %)구분
2022
2023
2024
23/24 증감률(%)
수출
24
19
27
42.1
수입
2
10
5
-50
[자료: WTO]
진출전략
<루마니아 디지털 헬스 산업 SWOT 분석>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 풍부한 IT 전문인력 및 잘 구축된 인프라
· 성장 중인 헬스테크 스타트업 및 디지털 헬스 생태계
· 기관 간 데이터베이스 상호 운용성 부족
· 1인당 의료 지출 수준이 낮아 시장 규모 제약
· 서유럽 대비 상대적으로 느린 의료 디지털화 진행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 루마니아 정부의 디지털 헬스 정책 및 추진 EU자금 지원
· 초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만성질환 관리 및 원격의료 수요 증가
· 웰빙 및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관심 증대
· 루마니아 및 EU 역내 경쟁 심화
· 민감 정보인 건강 데이터의 보안 및 프라이버시 우려
· 기존 의료계의 디지털 전환 저항 가능성
· 언어·문화적 차이에 따른 외국 기업의 진입 장벽
[KOTRA 부쿠레슈티무역관 정리]
루마니아의 디지털 헬스 시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과 혁신이 기대되는 분야다. 풍부한 IT 인력과 잘 구축된 인프라를 기반으로 헬스테크 스타트업 생태계도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루마니아 정부의 디지털 헬스 정책 추진과 EU 공동자금의 지원은 원격의료, 웨어러블 기기, AI 기반 건강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장 진입 기회를 확대하는 배경이 되고 있다.
또한, 초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만성질환 관리 수요 증가와 웰빙 및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관심 확대는 신규 솔루션에 대한 시장 수용성을 높이는 긍정적 요소다.
그러나 시장 진출에 앞서 고려해야 할 과제도 분명하다. 루마니아의 의료 시스템은 기관 간 데이터베이스의 상호 운용성 부족, 낮은 1인당 의료 지출, 느린 디지털 전환 속도 등 구조적 제약을 안고 있으며, 이는 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확산에 장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 시스템과의 연동이 쉬운 모듈형 솔루션이나,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화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제품을 통해 병원 간·내부 간 데이터 호환성 문제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가격 민감도가 높은 시장 특성을 고려해, 합리적인 비용 구조 및 구독형 서비스 등의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유효하다.
또한, 루마니아 내 현지 의료기관 및 민간 IT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공공 프로젝트 또는 EU 공동 입찰 사업 참여 기회를 확보하는 것도 시장 진입의 실질적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아울러 GDPR을 기반으로 한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기능 강화는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다.
결론적으로 루마니아 디지털 헬스 시장은 단기 수익성보다는 중장기적 파트너십 구축과 현지화 전략을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책 변화와 EU 자금 흐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전략적 접근이 요구된다.
자료: Eurostat, EIT Health, Statista, WTO, RomanianStartups.com, KOTRA 부쿠레슈티 무역관 종합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https://dream.kotra.or.kr/)
관련링크
-
- 이전글
- 루마니아, 재정적자 대응 위한 2025년 조세개편법 시행
- 25.08.14
-
- 다음글
- 루마니아 승용차 시장 동향
- 25.07.23